함께 공유하고는 소식/종합소득세

1인 법인의 장단점 (종소세 vs 법인세 비교)

수집자 2025. 5. 4. 14:12
728x90
반응형

✅ 소득이 늘어날수록 고민되는 법인 전환

프리랜서, 1인 사업자, 온라인셀러 등 개인사업 형태로 꾸준히 수익을 올리다 보면
자연스럽게 고민하게 됩니다.

“이 소득을 그대로 유지하면 종합소득세 폭탄 맞는 거 아냐?”
“이제 법인 전환해야 하는 시점일까?”

그때 등장하는 해답 중 하나가 바로 ‘1인 법인’입니다.
오늘은 1인 법인의 장단점과, 종소세 vs 법인세 절세 효과 비교를 현실적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
 

📌 1인 법인이란?

  • 대표 1명이 주주이자 임원인 법인 형태
  • 매출 규모에 상관없이 설립 가능
  • 개인사업자와는 달리 법적 ‘법인격’이 따로 존재

✅ 요즘은 유튜버, 디자이너, IT 개발자, 1인 온라인셀러 등도
절세와 신뢰도 확보를 위해 1인 법인을 많이 설립합니다.

 

💡 1인 법인의 주요 장점

1. 대표이사 급여를 비용으로 처리 가능

- 개인사업자는 본인 급여가 경비 인정 안 됨
- 법인은 대표이사 급여를 인건비로 처리 가능 → 절세 핵심 포인트

2. 각종 비용 인정 범위 확대

- 차량 유지비, 접대비, 사무실 임대료 등
→ 업무 관련성이 있으면 대부분 법인 비용으로 인정

3. 이익 유보 가능 (세금 이연 전략)

- 개인: 벌면 바로 과세
- 법인: 수익을 유보하고 다음 해로 넘길 수 있음 → 세금 관리 용이

4. 신뢰도 향상 + 입찰, B2B 계약 유리

- 공공기관/기업 입찰 시 법인 필수 조건 다수
- 거래처 신뢰도 및 외부 투자 유치 시 법인 형태가 유리

 

⚠️ 단점도 꼭 고려해야 합니다

1. 설립·회계 관리 비용 발생

- 등기 설립비, 세무대행료, 4대보험 처리 등
연 100만~200만 원 수준의 고정비용

2. 배당 시 이중과세 발생 가능

- 법인세 낸 후 이익을 대표가 배당하면
배당소득세 추가 과세

3. 회계·세무 부담 증가

- 부가세·법인세·원천세 신고 등 관리 항목 증가
- 전담 세무사 또는 회계대행 필요

 

📊 종합소득세 vs 법인세 비교표 (2025년 기준)

항목 개인사업자 (종소세) 1인 법인 (법인세+소득세)
과세 대상 대표 개인 소득 법인 수익 + 대표 급여
세율 구조 누진세 (6~45%) 법인세 정률 (10~22%) + 소득세
급여 비용 인정 불가능 가능 (대표이사 포함)
공제 항목 제한적 폭넓은 비용 인정 가능
유보금 활용 불가 가능 (세금 이연)
관리 부담 낮음 높음 (세무대행 필요)

 

✅ 결론: 이런 경우라면 1인 법인 전환을 고려해보세요

  • 연 순수익 6,000만 원 이상 발생하는 개인사업자
  • 지속적인 매출 상승이 예상되며, 세금 압박을 체감 중인 경우
  • 거래처 신뢰 확보, 외부계약·입찰 목적이 있는 경우
  • 지출 항목(임대료, 차량, 교육비 등)이 많은 구조

💡 단순히 ‘절세만’이 아니라,
사업 확장성과 회계 투명성 확보라는 장점도 함께 가져갈 수 있습니다.

 

 

📎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

 

💬 여러분은 어떤 절세 전략을 고려 중이신가요?

댓글로 궁금한 점이나 경험을 공유해 주세요.
좋은 질문은 전문가 코멘트와 함께 별도 포스팅으로 소개드릴 수 있습니다 😊